발우공양:개인의 자각으로써의 생태주의
발우공양 체험하는 일본 관음성지 순례단 출처:NEWSIS
음식의 보관은 다른 동물들과 마찬가지로 인간들에게도 절실한 문제였다. 고기를 익혀 먹는 것은 네안네르탈인의 불의 이용 시기와 어느 정도 일치 한다. 음식을 끊여먹기 시작한 시기도 기원전 5000년 경에 이르서야 가능했다고 한다.
그러나 보관의 문제는 상당히 복잡한데 육식을 위주로 하는 유럽인들은 단순히 소금이나 훈제로 고기를 보관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천문학과 항해술의 발달로 동양으로 진출한 이유 중에 하나가 바로 고기를 장기간 정장할 수 있는 향신료의 획득이었다. 유럽인이 향신료를 구하기 위해 동양으로 항해하다 우연히 발견한 것이 바로 인도, 곧 신대륙이기 하다. 결국 고기의 장기간 보관이나 저장을 위해 우연하게도 신대륙을 발견했고, 그들 탐욕의 충족을 위해 아메리카 인디언들이 살육을 당한 것이다. 이렇게 보면 역사의 비극은 우연의 결과라는 생각도 든다.
다양한 현상들을 일반화하고 논리를 심하게 비약한다는 걱정이 앞서지만, 역사상의 비극을 초래했던 유럽의 육식 위주의 음식문화와 달리 불교의 발우공양은 자연과 인간 자신들에게 가한 비극을 돌아보고 그 비극을 잉태한 서구화된 오늘날의 음식 문화를 성찰하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확신한다.
"발우공양이란 스님들의 식사를 말한다. 스님들의 식사는 일반사람들의 식사방법과 다르다.
발우공양은 식당작법(食堂作法)을 따라 하게 되는데 이 식당작법을 살펴보면 한끼의 식사까지 불교의 수행정신이 스며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흔히 발우공양은 음식을 남기는 법이 없어 낭비가 없으며, 음식을 남기지 않아 설거지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설거지로 인해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는다는 특징을 보여주고 있지만 이러한 특징은 지혜의 반영일 뿐이다. 식당작법을 통해 스님들의 식사란 수행임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출가 수행자가 음식을 매개로 중생과 함께하는 지혜의 정신이 숨어있는 것이다.
식당작법 중에 공양할 때 반드시 관상(觀想)하는 오관게(五觀偈)가 있다. 오관게를 오관상념게(五觀想念偈)라고도 하는데 다섯 시귀의 내용을 관상하여 염하는 것을 말한다.
이 공양이 여기에 오기까지 얼마나 많은 사람의 피와 땀의 고통이 배어있는가를 헤아리고(計功多少 量彼來處) 자기의 덕행이 공양을 받기에 부끄럽지 않는가를 생각한다.(忖己德行 全缺應供) 마음을 악으로부터 보호하고 허물을 여의는 것은 탐·진·치 삼독(貪·瞋·癡 三毒)을 버리는 것이 으뜸이니,(防心離過 貪等爲宗)이 음식을 약으로 알아 육신의 고달품을 치료하여,(正思良藥 爲療形枯) 도업을 이루고자 이 공양을 받습니다. (爲成道業 應受此食)
이러한 오관게를 통해 발우공양의 불교적 정신를 되새겨보면 첫째 시귀는 은혜, 둘째 시귀는 음식을 받을만한지의 자격, 셋째 시귀는 음식을 받는 이유, 넷째 시귀는 육신의 건강을 위해 음식을 받는 것으로 수행의 조건인 건강한 육체, 다섯째 시귀는 수행하기 위해서 음식을 받는 것, 즉 수행은 깨달음을 목적으로 하는 것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것을 일상생활에서 적용시켜보면 불교의 음식에 대한 지혜를 그대로 응용할 수 있다.
발우공양의 불교정신이 사회에 지속되려면 오관게를 관상하는 운동이 불자들의 실천을 통해 확산되어야 할 것이다. 관상하여 잊어버리지 않으면 몸에 배여서 일상생활에서 그대로 나타나게 된다. 이제 발우공양의 정신을 일반화하여 각 가정에서 직접 실천해 보면 절약하는 습관과 음식의 소중함을 깨닫고 생명을 사랑하는 마음까지 저절로 갖게 될 것이다. 이것이 확대되면 환경오염을 예방하고 경제적인 이득을 얻게 됨은 물론이다."
인용글 출처: 현대불교미디어 센터
우연이긴 하지만 유럽의 육식문화가 어메리칸 인디언의 대학살과 유럽의 제국주의와 식민주의와 직접적으로 관계하고 있는 것은 너무나도 어처구니없는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또한 현대의 기아와 비만과 음식으로 인한 질병은 곧 인간의 탐욕과 탐식의 결과라는 사실을 볼 때는 과연 인간의 탐욕이 인간 스스로를 옥죄는 쇠사슬이 되고 있다. 과거의 비극을 통해, 음식에 대한 탐욕 앞에서 평화로움과 자비와 사랑은 무용지물일 뿐이었다는 뼈아픈 교훈을 얻어야 하며, 또한 오늘날의 비극을 통해 음식은 사랑이고 자비이고 평화롭게 함께 공유하는 정신임을 자각하는 통절한 반성이 요구된다.
세계적인 영장류 학자이며 환경운동가 그리고 <희망 밥상>의 저자인 제인 구달 박사가 2006년 우리나라 화계사를 방문하여 발우공양을 1시간에 걸쳐 체험하였다. 짐작컨대 구달 박사는 발우공양에서 본질적인 생태주의 운동을 목격하였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것은 음식을 먹는 행위를 생태계 순환의 일부로 여길 수 있을 만큼 자연과 동식물에 적대적이며 않으며 음식의 질과 건강을 의도적으로 추구하는 의식조차 없기 때문이다. 아무튼 제인 구달 박사와 불교와의 만남은 동서양 함께 20세 이념과 민족과 국가이기주의를 넘어 21세기는 기아와 비만, 음식으로 인한 질병이 사라지는 것에서부터, 생태계의 보호와 보전에 이르기까지 인간에 대한, 자연에 대한, 생태계에 대한 근본적인 자각이 일어나는 녹색 생태주의로 나아가는 조화와 화해와 평화의 큰 걸음이 아닐까도 싶다.
이 지점에서 육식이나 채식을 떠나, 또한 종교를 떠나서, 인간이 과학기술의 발달과 함께 누리고 있는 경제적인 풍요라는 것이 생태계의 파괴를 기반하고 있는 인류 위기에 다름 아니라는 진지하고 심각한 고민을 해야 하며, 이러한 고민 속에서 발견하는 발우공양의 정신은 우리 인간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참고 제인구달 박사의 화계사 발우공양 체험
희망은거창한 구호에서가 아닌 개인의 작은 실천에서 오는 것
외국인들의 발우공양 체험 동영상
제인 구달, "환경문제는 자연과 동떨어진 삶 탓
'음식과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방이 아름다운 나라 (6) | 2008.09.01 |
---|---|
미국산 소고기를 앞에 두고 (0) | 2008.08.31 |
순두부 찌개 비빔면 & 덮밥 (13) | 2008.08.13 |
족발 초밥 (14) | 2008.08.07 |
베이컨 초밥 (14) | 2008.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