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식30

음식의 역사(3): 음식을 요리해 먹기 시작한 것은 언제부터일까? 1. 인간은 어떻게 농사를 짓고 가축을 기르게 되었을까? 2. 사람들이 음식을 요리해 먹기 시작한 것은 언제부터일까? 3. 음식은 인구 증가와 도시팽창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 4. 새로운 쟁기가 어떻게 십자군 원정의 불꽃을 일으켰을까? 5. 인도인들은 왜 암소를 신성시할까? 6. 채소와 과일을 거의 먹지 않는 유목민들에게 왜 비타민 결핍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것일까? 7. 센 불 위에서 프라이팬을 흔들면서 재빨리 볶아내는 중국식 요리법은 어떻게 생겨났을까? 8. 향신료를 찾아 탐험을 떠난 유럽인들이 어떻게 아메리카 주민들의 삶과 문명을 파괴했을까? 9. 통조림도 냉장고도 없던 시절, 몇 달씩 배위에서 생활하는 선원들은 어떤 음식을 먹었을까? 10. 남아메리카에서 전해진 칠면조가 왜 ‘터키 닭’ 이라는 영.. 2009. 1. 18.
음식의 역사 음식의 역사 Food in History 래이 테너힐의 Food in History(음식의 역사, 손경희 옮김)를 읽으면서 음식이 단순한 인간 문명의 부산물이거나 생존을 위한 수단으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인간의 역사에 상호 영향을 끼쳐왔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역사가 과거와 미래의 대화’ 라는 카의 명언에 음식의 역사를 적용해보면 인간의 역사가 생물적인 한계와 관습을 가지는 보다 유기적이고 생동감 넘치는 역사의 모습을 제공해 주는 듯하다. 단순히 ‘대화’ 라는 유기적인 역사인식 보다 더 나아가 마치 역사가 우리의 식탁위에 놓여있다는 일상성을 느끼게 한다. 아마도 이러한 느낌은 음식이 갖는 친밀감 때문일 것이며 삶의 현장이 곧 음식을 제공해주는 자연, 곧 현재의 우리가 체험하고 있는 그.. 2009. 1. 14.
주방이 아름다운 나라 주방이 아름다운 나라 얼마 전 식당의 위생문제를 고발한 블로그 포스트가 눈에 띄었습니다. 남은 음식 재탕, 삼탕하는 음식점 충격! 이라는 글로 혀나 겅주님 께서 KBS1의 프로그램을 근거로 쓴 포스트였습니다. 기성 언론 보다 더 성실하고 가슴으로 쓴 진실한 글이라 판단됩니다. 이번 고발 프로와 관계없이 식당의 위생문제는 공공연하게 떠돌았고 추측은 하고 있었습니다. 이런 고발 기사나 프로그램이 과거에도 끊이지 않고 있어왔으니까 말입니다. 개인적으로도 식당에서 불쾌한 장면들을 직접 여러번 목격하기도 했으니까요. 식당의 비위생 문제는 어제 오늘의 문제가 아닌 것입니다. 이번 식당 위생에 대한 TV의 심층적인 문제 제기를 계기로 우리 사회에 안전하고 위생적인 먹거리 문화가 정착되었으면 합니다. 참고로 아래의 링.. 2008. 9. 1.
발우공양: 개인의 자각으로써의 생태주의 발우공양:개인의 자각으로써의 생태주의 인간의 음식문화는 인간과 자연의 관계, 그리고 인간과 인간의 관계를 떼어 놓고는 생각할 수 없다. 육식은 육식대로 채식은 채식대로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전제하지 않고는 생각할 수 없다. 육식은 사냥감의 사냥을 위해 칼과 창을 필요로 했을 것이고, 그 조리나 보관을 위해 여러 식물들과 향신료를 필요로 했을 것이다. 음식의 보관은 다른 동물들과 마찬가지로 인간들에게도 절실한 문제였다. 고기를 익혀 먹는 것은 네안네르탈인의 불의 이용 시기와 어느 정도 일치 한다. 음식을 끊여먹기 시작한 시기도 기원전 5000년 경에 이르서야 가능했다고 한다. 그러나 보관의 문제는 상당히 복잡한데 육식을 위주로 하는 유럽인들은 단순히 소금이나 훈제로 고기를 보관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천.. 2008. 8.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