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121

일본 여자 영화배우들은 왜 생머리를 고집할까? 일반화 시키기는 어렵지만, 일본여자 영화배우들은 생머리를 고집하는 것 같다. 개인적으로 생머리를 한 여자 영화배우들만 보았기 때문이다. 거의 예외가 없었던 것 같다. 딱 한 번 예외가 있었다면 에서 우에노 주리의 파머 머리가 전부였다. 그러나 그것도 영화 속에서의 경우이며 실제로 우에노 주리가 파머를 한 모습을 본적이 없는 것 같다. 우선 일본 여자 영화배우들의 사진을 통해 이러한 모습을 확인해 보기로 하자. 슬라이더 순서대로 나카야마 미호, 미야자키 아오이, 사와지리 에리카, 스즈키 쿄카, 시바사키 코우, 아오이 유우, 우에노 주리, 유민, 카시이 유우, 타케우치 유코, 히로스에 료코 한국의 여배우들 한국의 여자배우들과 비교를 해보면 별 차이가 나지 않는 듯 하지만, 그러나 한국 여배우들이 일본여배우들.. 2009. 1. 15.
음식의 역사(2) 인간은 어떻게 농사를 짓고 가축을 기르게 되었을까? 1. 인간은 어떻게 농사를 짓고 가축을 기르게 되었을까? 2. 사람들이 음식을 요리해 먹기 시작한 것은 언제부터일까? 3. 음식은 인구 증가와 도시팽창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 4. 새로운 쟁기가 어떻게 십자군 원정의 불꽃을 일으켰을까? 5. 인도인들은 왜 암소를 신성시할까? 6. 채소와 과일을 거의 먹지 않는 유목민들에게 왜 비타민 결핍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것일까? 7. 센 불 위에서 프라이팬을 흔들면서 재빨리 볶아내는 중국식 요리법은 어떻게 생겨났을까? 8. 향신료를 찾아 탐험을 떠난 유럽인들이 어떻게 아메리카 주민들의 삶과 문명을 파괴했을까? 9. 통조림도 냉장고도 없던 시절, 몇 달씩 배위에서 생활하는 선원들은 어떤 음식을 먹었을까? 10. 남아.. 2009. 1. 15.
말 할 수 있는 죽을 동물 "말 할 수 있는 죽을 동물": 아리스토 텔레스는 이 술어를 인간의 가장 고유한 본성을 표현하는 것으로 본다(아리스토텔레스, P.23, A.E. 테일러, 이정우 역, 종로서적, 1986) 도대체 아리스토텔레스는 어떤 이유로 "말 할 수 있는 죽을 동물" 이란 말을 인간의 가장 고유한 본성을 표현한 것으로 보았을까? 여기에서 몇 가지의 개념을 추출해 보면 말, 죽음, 동물일 것 같은데 말은 미래의 죽음을 알게 한다는 의미에서 미래 지향성을 가지고 있는 유일한 동물임을 강조한 것일까? 말이 없다면 인간은 다른 동물들과 무엇이 다를까? 따지고 보니 말과, 죽음, 그리고 동물이라는 사실만큼 인간에 대한 본질적인 표현도 없을 것 같다. 인간의 문명과 문화는 말의 또다른 형태일 것이고, 역사는 죽음의 기록이며, 동.. 2009. 1. 14.
유대인과 집시 일본의 전후( 2차 유럽 대전후) 처리에 대해 그 피해 당사자인 우리는 유대인들에 대한 독일의 피해 보상, 역사적 인식 등을 비교하면서 일본 정부의 비인간적이고 몰역사적인 태도에 강한 분노를 표출한다. 전후 일본의 터무니 없는 피해 보상과 아직도 진행되고 있는 역사 왜곡, 성노예 할머니들에 대한 인격적인 모독 등 반성은 커녕 자국의 역사를 오히려 미화하는 짓을 서슴치 않고 있다. 독일의 경우 전대미문의 유대인 대학살을 저지른 장본인이라는 측면에서 그들 스스로도 유대인들에 대한 보상과 전범 처리, 역사인식등을 갖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지도 모른다. 인류에게 유대인 대학살은 살아있는 역사이며 현재진행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사실 독일이 근본적으로 일본의 전후 태도와 다르다고 할 수 있을까? 결론적으로 말.. 2009. 1.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