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식과 건강

야끼 만두, 그 정체성을 아십니까?

by 컴속의 나 2009. 2. 23.

우리가 사용하는 만두(Mandu)라는 용어는 어원상으로는 중국의 만토우(Mantou)와  밀접하게 관련이 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실제 음식으로는 우리의 만두는 만토우 보다는 바오지(baozi), 쟈오지(Jaozi) 또 쟈오지에서 유래한 교자(Gyoja:일본)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아니 이름만 다르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런데 일본의 경우처럼 왜 쟈오지에서 교자로 변형된 것 같은 과정을 거치지 않고 우리나라에는 만두로 그 용어가 정착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상당한 궁금증이 앞선다.


우리나라의 군만두



도대체 왜 이런 일이 일어났을까?

만두의 기원이 중국이란 데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송나라 이전에는 이 만토우는 속이 비거나 속이 찬 빵을 의미했다. 그러나 송나라에 바오지(baozi:주로 찐만두)가 속이 찬 빵을 의미하면서 중국의 만토우는 점차적으로 중국어로는 속이 차지 않은 빵을 지칭하게 되었다. 따라서 오늘날 중국에서 만토우의 의미는 속이 차지 않는 빵을 의미한다.  즉, 만두 보다는 빵에 가깝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아래 사진 참조). 그러나 약간은 혼락스럽게도 이러한 구분이 지역에 따라서는 깨어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예를들면, 상해에서는 속이 찬 빵이라 하더라도 상해 만토우라고 불리고 있다. 또한 사오롱 만토우가 다른 곳에서는 샤오롱바오라고 구분하지 않고 쓰이고 있다. 아무튼 이 만토우가 몽고와 중앙아시아에 전해져 몽고에서는 mantuu로 그리고 몽고가 지배하던 중앙아시아, 즉 투르크에는 만티(manti), 카자흐에는 만티(manty), 우즈벡에는 만토우(mantou) 로 용어가 변형되어 전해졌다고 볼 수 있다.(중앙아시아의 manti, manty, mantou는 빵(bun) 보다는 우리의 만두(dumpling)에 가깝다)




몽고의 buuz(몽고의 경우는 mantou에서 유래된 mantuu가 중국과 마찬가지로 속이없는 빵으로 정착되어 있다. 우리의 만두(중국으로 치면 baozi나 jiaozi, 일본으로 치면 교자, gyoza)에 해당되는 것은  buuz라고 할 수 있다)




몽고의 Khuushuur




그러나 여기에서 애매한 분화가 일어나는 것이 몽고에서도 mantuu의 의미가 속이 차지 않은 빵을 뜻한다는 사실이며, 우리의 만두와 거의 같은 것은 Buuz로 불린다는 사실이다. 이와는 달리 투르크, 카자흐, 페르시아 등 중앙아시아에는 속이 찬 빵을 의미하는 mantou 가 굳어져 manti, manty, mantou는 속이 찬 빵, 즉 우리의 만두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Classic white mantou(중국)



튀긴 Montou



그렇다면 mantuu가 몽고를 통해 전해질 당시에 중앙아시아처럼 속이 찬 빵(bun 보다는 dumpling)의 의미로 정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가 만두를 지칭할 때 manti, manty, mantou(우즈벡) 처럼 속이 찬 빵을 의미하게 된 것이라 볼 수 있다.


아르메니아식 manti




카자흐나 우즈벡식의 manti(우리의 찐만두와 흡사하다)




Khinkali(그루지아식 만두)



pelmeni(러시아식 만두 )



pierogi (주로 동유럽)




그런데 여기에서 재미있는 것은 일본의 경우, 분명히 중국의 mantou가 직, 간접적으로 일본으로 들어갔다는 사실이다. 그러나 우리와는 달리 mantou가 manju로 변형되면서 만두와는 관계없는 과자가 되었다. 같은 mantou가 우리에게는 만두로, 일본에게는 과자(manju)로 정착된 것이다. 

 
일본의 manju(중국의 mantou에서 유래되었다). mantou가 우리나라에서는 만두가 된 것 과는 달리 일본에서 과자(manju)되었다


그런데 일본에는 송나라 훨씬 이전인 동한시대에 만들어 졌다는 쟈오지(jiaozi)가 그대로  교자(Gyoja)로 어원만 변형되어 들어갔다는 것은 의문을 제기한다고 할 수있다. 왜냐하면 중국의 문화가 대체로 한반도를 거쳐 일본으로 들어가는 통례를 따른다면 우리나라에서 발견되지 않는 쟈오지가 왜 일본에서 교자로 등장하는 가의 문제인 것이다.



Jiaozi(만두)



Shuijiao( 물만두)





guotie (주로 북 아메리카. Peking ravioli라고도 한다. 우리나라의 군만두와 같다. 일본에서는 야끼만두가 된다)



이 의문에 대한 답은 두 가지로 추측해 볼 수 있는데 쟈오지가 일본에 들어간 것이 아주 최근의 시기이거나,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몽고의 100년간에 걸친 한반도 지배에 의해 mantuu가 jiaozi를 대체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둘 중 어느 것도 확실한 것이 아니며 개인적인 추측에 불과하다.


아무튼 우리의 만두는 용어상 중국 송나라 이전의 montou의 의미중에 속이 찬 빵을 의미(baozi, jiaozi, gyoja에 가깝다) 하며,몽고와 중앙아시아 지역의 manti, manty, mantou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일본의 경우는 montou는 manju로 전혀 이질적인 음식으로 변형되었고, jiaozi 가 그대로 들어가 gyoja로 정착한 것이다(gyoja는 칠리소스와 참기름, 마늘향이 많이 난다). 

그렇다면 야끼만두의 정체성은 무엇일까?
야끼(yaki)라는 일본말, 중국에서 기원한 음식(mantou), 몽고를 통해 유래되었다는 사실! 야끼 만두가 일본 36년 지배와 몽고 100년 지배, 그리고 중화 사대주의 흔적이 고스란히 담겨있는 음식이라고 한다면 지나친 과장일까? 만두, 참 맛있긴 한데, 또 동시에 정체성이 애매한 음식이 아닐까. 뭐 어쨌던 맛있기만 하면 될까? 

 
 
아래의 사진들은 다른 만두들의 사진입니다.



*위 글의 이미지들은 영문판 위키피디아에서 가지고 왔습니다.  


* 이 포스트는 blogkorea [블코채널 : 한그릇 맛있는 음식] 에 링크 되어있습니다.